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은 안과 질환에 대한 저소득층의 의료비 부담을 덜어주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의 50대 저소득층 안과 수술비 지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생명 아이 (Eye) 100세 지원사업: 안과 질환 의료비 지원
-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은 50~59세 저소득 중장년층에게 눈 질환 의료비를 지원하는 '생명 아이 (Eye) 100세 지원사업'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 국내 녹내장 환자는 최근 5년간 20% 이상 증가했습니다. 녹내장과 같은 눈 질환은 조기에 치료하지 못하면 실명까지 이를 수 있어 정기 검진 및 예방이 필요합니다.
- 중장년층인 50~59세 저소득층 환자들은 나이 제한으로 인해 의료 사각지대에 놓여있습니다. 이에 생명보험재단은 '생명 아이 (Eye) 100세 지원사업'을 통해 저소득 중장년층의 안저검사를 독려하고 의료비 부담을 해소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 한국실명예방재단과 함께 운영하는 본사업은 50~59세의 실손보험이 없는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을 대상으로 녹내장, 백내장 등 안과 질환 수술 의료비를 지원합니다.
- 지난 2년간 총 565명의 의료비를 지원해 실명 위기에서 구했으며 올해는 약 276안의 수술을 지원할 예정입니다.
2. 생명보험재단의 역할: 생명 존중 문화 확산
- 생명보험재단은 2007년에 삼성생명, 교보생명, 한화생명 등 19개의 생명보험회사가 협력하여 설립된 공익법인입니다.
- 생명보험이 지향하는 생명 존중 정신을 바탕으로, 선도적인 복지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생명 아이 (Eye) 100세 지원사업'을 통해 실질적인 의료비 부담 경감은 물론, 안 보이는 것에 대한 상실감과 우울증 등으로 발생하는 삶의 질 저하 문제를 예방하고자 합니다.
3.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의 미래 비전: 더 나은 미래를 위한 노력
-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은 지속해서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미래에는 더 많은 분이 안과 질환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정기적인 검진을 받으며 건강한 눈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합니다.
- 또한, 안과 질환뿐만 아니라 다양한 의료 분야에서도 저소득층 환자들을 돕기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확대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더 많은 분이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삶의 질을 향상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4.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에 참가하는 방법: 함께 나누는 소중한 기부
-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은 기업, 개인, 단체 등 다양한 분들의 기부와 참여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 안과 질환 지원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회적 책임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더 나은 사회를 만들기 위해 함께 노력해 주세요.
5. 마무리 글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은 안과 질환에 대한 저소득층의 의료비 부담을 덜어주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생명 아이 (Eye) 100세 지원사업'을 통해 50~59세 중장년층에게 녹내장, 백내장 등 안과 질환 수술비를 지원하고 있으며, 지난 2년간 총 565명의 환자를 도와 실명 위기에서 구했습니다.
미래에는 더 많은 분이 정기적인 검진을 받으며 건강한 눈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합니다.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은 미래를 위한 노력을 계속하며 더 나은 사회를 만들기 위해 기업, 개인, 단체의 참여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우리가 모두 손을 내밀어 더 많은 사람을 위한 미래를 만들어 나가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LH, 수급자·고령자 대상 전세임대주택, 4000가구 입주자 모집의 입주 대상, 입주 절차, 임대 기간, 신청 방법 등에 대하여 (0) | 2024.03.24 |
---|---|
정부, 기초생활수급자, '무료 OTT 이용권' 혜택 받기 (0) | 2024.03.23 |
‘희망리턴패키지‘, 경영 위기·폐업, 소상공인 2500명 재기 지원에 대하여 (0) | 2024.03.23 |
‘드림 장학생 선발’, 저소득 고등학생에게 해외 유학 기회 제공, 지원 자격, 신청 기간, 선발 과정, 혜택, 유학 후 지원 등에 대하여 (0) | 2024.03.22 |
2024년 '온라인(로또)복권 신규판매인 모집 공고', 신청 기간 및 방법, 신청 자격 등에 대하여 (0) | 2024.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