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과 여신금융협회는 최근 5년 동안 카드 사용 시 적립되지 않은 포인트가 누락되는 현상을 확인했습니다. 이에 따라 약 11억 9,000만원에 달하는 포인트가 소비자들에게 누락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5년간 누락된 카드 포인트 12억 원을, 이달 말부터 자동 환급해 주는 내용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카드 포인트 미적립 배경
- 카드 사용 시 적립되지 않은 포인트가 누락되는 현상이 발견되었습니다.
- 금융감독원과 여신금융협회는 이를 확인하고 소비자 권익을 위해 카드 포인트 적립 개선 방안을 마련했습니다.
- 최근 5년 동안 미적립된 포인트 약 11억 9,000만 원을 이달 말까지 자동 환급할 예정입니다.
● 카드 포인트 미적립 사례
- A 씨는 결제금액의 5%가 포인트로 적립되는 카드로 지난 1월 10일 20만원을 결제해 1만 포인트를 적립했습니다.
같은 달 15일 10만원을 또 결제했지만, 적립 한도 초과로 5000원 포인트는 적립되지 않았습니다.
며칠 후인 20일에 10일에 결제했던 20만원에 대해 결제를 취소한 A 씨는 적립 한도가 복원돼 15일 사용분에 대한 5000포인트가 다시 적립될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적립되지 않았습니다.
현재 시스템 운영상 1월 20일 이후 신규 사용분만 포인트로 적립되기 때문입니다.
- B 씨는 최근 5년 동안 카드를 사용했지만, 적립되지 않은 포인트가 누락되었습니다. 그 결과, 약 1억 2,000만 원의 포인트가 누락되었습니다.
- C 씨는 카드를 사용하면서 적립되는 포인트를 주의 깊게 확인했습니다. 그런데도 최근 5년 동안 미적립된 포인트가 약 2억 원에 달했습니다.
- D 씨는 카드 사용 시 적립되는 포인트를 자주 확인했습니다. 그런데도 미적립된 포인트가 약 8천만 원에 이르렀습니다.
● 카드 포인트 미적립 환급 절차
- 카드사는 시스템 미비로 카드 포인트가 자동 적립되지 않은 이용 고객 35만 3000명에게 최근 5년간 발생한 11억9000만 원의 포인트를 환급하기로 했습니다.
- 포인트 환급은 별도로 신청하지 않아도 3월 말 자동 환급됩니다. 관련 내용은 고객에게 개별 안내됩니다.
- 기존 회원은 포인트로 적립되나 이미 탈퇴한 회원은 포인트에 준하는 금액이 캐시백답게 됩니다.
● 시스템 개선
- 카드 업계는 관련 약관을 개정하고, 포인트가 자동 적립되도록 시스템을 개선할 예정입니다.
- 2분기 내 카드 상품 약관 중 포인트 적립 관련 내용이 모호하거나 소비자에게 불리하게 해석될 우려가 있는 문구에 대해 개정할 것입니다.
- 향후 출시되는 상품에도 개선된 문구가 약관에 적용될 예정입니다.
- 3분기에는 각 카드사가 포인트 점검·보정 프로세스를 마련해 포인트 미적립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시스템을 개선할 계획입니다.
● 마무리 글
금융감독원과 여신금융협회는 최근 5년 동안 카드 사용 시 적립되지 않은 포인트가 누락되는 현상을 확인했습니다.
이에 따라 약 11억 9,000만 원에 달하는 포인트가 소비자들에게 누락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카드사는 이달 말까지 미적립된 포인트를 자동 환급할 예정입니다.
이미 탈퇴한 회원들은 포인트에 준하는 금액을 캐시백으로 받게 됩니다.
또한 시스템 개선을 통해 카드 사용자들이 누락된 포인트를 정확하게 적립 받을 수 있도록 할 예정입니다.
약관 개정과 포인트 점검·보정 프로세스를 통해 미적립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은행들이 노력할 예정입니다.
이번 기회에 많은 환급 혜택을 누리기를 바랍니다.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가장학금' 지급, 전국 대학생 80%에 국가장학금 지급 확대에 따른 재원 문제, 장학금 지원 확대의 의의와 과제, 재원 문제와 극복 방안 등에 대하여 (0) | 2024.04.04 |
---|---|
청년 지원 정책, 중개보수비와 이사비, 최대 40만원 지급받는 방법, 지원 자격, 신청 방법, 지원 대상 등에 대하여 (0) | 2024.04.04 |
'청년문화예술 패스', 신청 방법, 포인트 사용, 프로그램 혜택 등에 대하여 (0) | 2024.04.03 |
2024년 육아휴직 급여, 3900만원 받는 방법, .6+6 육아휴직, 지원금 혜택, 등에 대하여 (0) | 2024.04.02 |
고용촉진장려금, '지역 맞춤형' 시범사업으로 1인당 최대 720만원 지원받는 방법에 대하여 (0) | 2024.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