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은 긴급복지지원으로 위기 상황에 처한 분들께 긴급생계비 71만원을 받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경제적 어려움에 직면한 취약계층을 돕기 위해 국가형과 서울형 '긴급복지지원'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긴급복지지원은 실직, 폐업, 중한 질병, 부상, 자연재해, 범죄 피해 등 갑작스러운 위기 상황에서 생계유지가 곤란한 저소득층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 긴급생계비 지원 기준
▶ 올해 긴급생계비
1인 가구 기준으로 월 71만3100원으로 전년도 대비 약 14% 인상되었습니다.
▶ 국가형 긴급복지지원 기준
- 기준중위소득 75% 이하 (대도시 1인 가구 기준 167만원, 4인 가구 기준 소득 429만원)
- 재산 2억4100만원
- 금융재산 4인 가구 기준 1172만원 이하.
▶ 서울형 긴급복지지원 기준
- 기준중위소득 100% 이하 (대도시 1인 가구 기준 222만원, 4인 가구 기준 소득 572만원)
- 재산 4억99만원
- 금융재산 1000만원 이하.
◉ 긴급생계비 지원 방법
- 국가형 긴급복지지원은 주소지 동주민센터에 신청하면 됩니다. 의료비는 구청 복지정책과로 신청하면 됩니다.
- 서울형 긴급복지지원은 주소지 동주민센터에서 신청할 수 있으며, 복지플래너의 상담 후 동 내부 사례 회의를 통해 지원 대상자를 선정합니다.
- 지원 대상자는 생계비, 의료비, 주거비 등을 맞춤형으로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긴급 지원 대상자를 발견한 사람은 누구나 거주지 동주민센터 또는 은평구 복지정책과, 은평 복지 핫라인 (02-351-8888)로 지원 요청할 수 있습니다. 또한, 24시간 보건복지 상담센터 (129)에도 신고할 수 있습니다.
◉ 긴급복지지원의 중요성
긴급복지지원은 경제적 어려움에 직면한 취약계층을 지원하는 중요한 제도입니다. 이를 통해 생계유지가 어려운 분들이 기본적인 생활비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 서울시에서 제공하는 복지 서비스는 무엇인가요?
서울시는 다양한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중 일부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 서울 복지 포털
서울 복지 포털은 서울시가 추진하는 복지, 어르신, 장애인, 노숙인 자활 지원 분야의 정책, 사업, 자료, 최신소식을 공유하는 플랫폼입니다.
이곳에서 맞춤 복지 신청 서비스, 복지 소식, 복지 수첩 등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연령과 개인별 특성에 맞는 맞춤 서비스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강화된 검색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서울 복지 포털에서는 돌봄SOS센터,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사회서비스원 등 다양한 복지서비스를 시행 중입니다. 누구나 쉽게 정보를 얻고 활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 서울시복지재단
서울시복지재단은 행복한 복지 도시 서울을 만들기 위해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시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하고 사회적 약자들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 녹번종합사회복지관
녹번종합사회복지관은 은평구 녹번동에 있으며, 월~금 09:00~18:00까지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웃들과 희망을 나누는 좋은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 신목종합사회복지관
◉ 마무리 글
서울시는 경제적 어려움에 직면한 취약계층을 위해 긴급복지지원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생계유지가 어려운 분들이 기본적인 생활비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국가형과 서울형 긴급복지지원의 기준에 따라 지원 대상자를 선정하며, 주소지 동주민센터나 은평구 복지정책과, 은평 복지 핫라인, 보건복지 상담센터를 통해 지원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서울 복지 포털과 서울시복지재단은 다양한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시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하고 사회적 약자들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서울시의 복지 서비스를 통해 더 나은 삶을 만들어 나가시길 바랍니다.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워라밸일자리 장려금‘의 지원 내용, 지원금 혜택, 지원 대상, 신청 방법 등에 대하여 (0) | 2024.02.24 |
---|---|
2024년 ‘청년 월세 특별지원' 지원 대상, 소득 기준, 지원금 조건과 신청 방법 등에 대하여 (0) | 2024.02.24 |
소상공인 전기요금 지원받는 방법, 지급 방식, 지원 대상 등에 대하여 (0) | 2024.02.23 |
분양형 실버타운, 천만 노인 시대, 10년 만에 부활 (1) | 2024.02.22 |
청년 지원금 프로그램, ‘인력난’ 취업 청년에 최대 200만원 지원, 신청 방법 등에 대하여 (0) | 2024.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