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패스는 경기도에서 전국의 모든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하면 교통비 일부를 환급해 주는 제도로 5월부터 시행할 예정입니다. 이 글에서는 'The 경기 패스'에 대한 소개와 대중교통비 환급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 'The 경기 패스'란?
'The 경기 패스'는 경기도민이 전국의 모든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할 경우 사용한 교통비 일부를 환급해 주는 정책입니다. K-패스와 연계되어 있으며, K-패스에서 제공하는 혜택에 더해 도민에게 추가 혜택을 주는 정책입니다.
◉ 'The 경기 패스'의 대상
경기 패스는 월 15~60회 대중교통 이용 시 비용의 20%(19~34세 청년 30% 환급해 주는 K-패스와 달리 이용 한도가 무제한이며, 30% 환급 대상인 청년의 기준도 19~39세까지 확대합니다.
◉ 'The 경기 패스'의 혜택 범위 및 장점
또 광역버스·신분당선이 제외된 서울시 기후동행카드와는 다르게 경기 패스는 광역버스와 신분당선, 올해 3월 개통하는 GTX (광역급행철도) 등 전국 모든 대중교통수단을 포함합니다. 또 환급 방식인 만큼 최초 한 번만 등록하면 매달 충전할 필요가 없다는 점도 장점입니다.
◉ 대중교통비 환급 및 지원 계획
경기도민이 전국 어디에서나 모든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할 경우 사용한 교통비 일부를 환급해 주는 ‘The 경기 패스(이하 경기 패스)’가 오는 5월부터 시행된다.
경기도는 애초 올해 7월 추진 예정이었던 국토교통부 K-패스의 시행 시기가 2개월 앞당겨진 5월로 확정되면서 경기 패스도 같은 시기 진행한다고 21일 밝혔다.
경기 패스는 K-패스에서 제공하는 혜택에 더해 도민에게 추가 혜택을 주는 정책이다. 일례로 경기 패스는 월 15~60회 대중교통 이용 시 비용의 20%(19~34세 청년 30%, 저소득층 53%)를 환급해 주는 K-패스와 달리 이용 한도가 무제한이며, 30% 환급 대상인 청년의 기준도 19~39세까지 확대한다.
◉ 기후동행카드와 다른 점
또 광역버스·신분당선이 제외된 서울시 기후동행카드와는 다르게 경기 패스는 광역버스와 신분당선, 올해 3월 개통하는 GTX(광역급행철도) 등 전국 모든 대중교통수단을 포함한다. 또 환급 방식인 만큼 최초 한 번만 등록하면 매달 충전할 필요가 없다는 점도 장점이다.
가령 경기 패스를 이용해 수원에서 서울까지 통근하는 38세 도민은 월 40회 광역버스 이용 시 발생하는 교통비 11만2천원 중 30%인 3만3천600원을 되돌려 받을 수 있게 된다.
◉ K-패스와 다른 점
여기에 경기 패스는 K-패스를 이용할 수 없는 18세 이하 어린이·청소년들에게도 교통비 지원 혜택을 준다. 도는 기존 청소년 교통비 지원사업 내용을 개편해 대상을 6세 이상 어린이까지 확대하는 한편, 연 24만원 한도에서 교통비를 지원할 계획이다.
◉ 마무리 글
경기도에서는 5월부터 전국의 모든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하면 교통비 일부를 환급해 주는 'The 경기 패스'를 시행할 예정입니다. 이번 정책에서는 환급 대상이 '19~39세'로 확대되었으며, 광역버스, 신분당선, GTX 등 전국 모든 대중교통수단이 포함됩니다.
경기 패스는 K-패스와 연계되어 있으며, 월 15~60회 대중교통 이용 시 비용의 20%(19~34세 청년 30% 환급해 주는 K-패스와 달리 이용 한도가 무제한입니다. 또한, 최초 한 번만 등록하면 매달 충전할 필요가 없다는 점도 장점입니다.
'The 경기 패스'는 경기도민이 전국의 모든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할 경우 사용한 교통비 일부를 환급해 주는 정책입니다. K-패스와 연계되어 있으며, K-패스에서 제공하는 혜택에 더해 도민에게 추가 혜택을 주는 정책입니다.
경기 패스는 월 15~60회 대중교통 이용 시 비용의 20%(19~34세 청년 30% 환급해 주는 K-패스와 달리 이용 한도가 무제한이며, 30% 환급 대상인 청년의 기준도 19~39세까지 확대합니다.
또 광역버스와 신분당선, 올해 3월 개통하는 GTX (광역급행철도) 등 전국 모든 대중교통수단을 포함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The 경기 패스'에 대한 소개와 대중교통비 환급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다루었습니다.
경기도민 여러분들께서는 이번 기회에 'The 경기 패스'를 이용하여 대중교통 이용 시 교통비 일부를 환급받으시길 바랍니다.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 월세 한시 특별지원의 대상, 자격조건, 신청 기준, 지원 금액 등에 대하여 (0) | 2024.01.25 |
---|---|
희망 저축 계좌 2, 저축 금액 2배 주는 가입자 모집에 대하여 (0) | 2024.01.25 |
국민연금 실버론의 대상자, 대출 방법, 대출 이용 시 주의 사항, 장단점 등에 대하여 (0) | 2024.01.24 |
2024년 결혼장려금, 500만원 지급 받기 바로신청하기 (1) | 2024.01.23 |
2024년 자동차세 연납의 신청 방법, 할인 혜택 등에 대하여 (1) | 2024.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