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_ ticle
본문 바로가기
교육

교육학, 과학으로서의 교육학, 독립과학으로서의 교육학, 교육학의 연구 영역 등에 대하여

by 이레로 2023. 10. 25.

썸네일
교육학

과학으로서의 교육학

 

과학으로서의 교육학이 하나의 독립된 분야로 성립한 것이 19세기 초 헤르바르트가 일반교육을 발표했을 때부터라는 것이 통설로 되어 있습니다.

그 이전에도 교육에 관한 의견·사상이 오랜 세기에 걸쳐서 문헌상에 나타나 있으며, 그 의견과 사상들이 교육의 개혁에 이바지해 온 것은 사실입니다.

 

 

하나의 독립된 과학으로서의 교육학은 아직 성립하지 못하였습니다.

헤르바르트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교육학자가 나타나, 제각기 색다른 교육학을 세워 왔습니다.

 

그러므로 오늘에서도 모든 사람이 다 같이 인정하는 하나의 교육학이 성립된 것은 아닙니다.

심지어는 보편타당성(普遍妥當性)을 요구하는 과학으로서의 교육학의 성립을 부정하는 주장, 즉 교육학의 독립성을 부정하는 주장이 아직도 그림자를 감추지 않고 있는 형편입니다.

 

교육은 나라에 따라 시대에 따라 저마다 독특한 성격을 띠고 있기 때문에 보편적인 과학으로서의 교육학이 있을 수 없다는 것입니다.

 

교육학은 윤리학·심리학·논리학·미학·생물학·사회학 등등 근대과학의 지식을 빌어서 구성하는 지식의 집합체에 불과하니, 기껏 그것은 다른 과학을 응용하는 응용과학일 뿐 그 자체로서 독립성을 띤 과학이 될 수 없다는 것입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1

독립과학으로서의 교육학

 

독립과학으로서의 교육학은 모든 주장에도 불구하고 엄연히 하나의 독립과학으로 취급합니다.

한 과학의 독립성에 근본이 되는 요건은 연구 대상의 현실적 균일성에 있는 것도 아닙니다.

 

다른 과학지식의 응용 여부에 있는 것도 아닙니다.

하나의 독립과학이 성립하는 데는 무엇보다도 독자(獨自)의 연구 영역이 있어야 하며, 독자적인 연구 목적이 있어야 합니다.

 

나아가서 독자적인 연구 방법이 있어야 합니다.

이 세 가지 요건을 갖출 때 그것은 독립과학의 구실을 할 수 있는 것입니다.

 

교육학의 연구 영역

함께 보면 좋은 글-2

 

교육학의 연구 영역은 다름 아닌 교육이라는 사상(事象)입니다.

교육은 인간의 신체와 정신을 성장·발달시키는 독자의 세계로서 교육학은 다른 어떠한 과학의 영역에도 종속시킬 수 없는 독특한 연구 영역을 가졌습니다.

 

따라서 연구목적에 있어서도 현재의 신체와 정신을 더 높은 단계의 가치로 발달시키는 데 요구되는 이론을 추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즉, 자연의 이상화에 관한 이론이 그 연구 목적입니다.

다른 과학에서는 볼 수 없는 교육학의 독특한 연구목적인 것입니다.

 

그러므로 연구방법에 있어서도 중점을 교육활동 효과의 조사에 두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과학연구에 적용되는 연역법·귀납법 등을 사용하되, 교육적 관점에서 교육적 효과를 지향(志向)하는 연구 방법이라야 합니다.

 

교육학의 연구 대상

 

교육학은 연구 대상을 교육사상(事象)으로 합니다.

교육이라는 사상은 인간의 발달을 촉진하는 기도(企圖)이기 때문에 교육학의 연구과제는 다른 어떠한 과학에서보다도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를 안고 있습니다.

 

교육학은 인간을 연구하는 모든 과학의 도움을 받아야 할 것은 물론이고, 그 인간을 더 높은 단계로 발달시키는 데 필요한 원리를 세워 나가야 합니다.

 

이러한 견지에서 볼 때 교육학의 연구 분야는 여러 갈래로 나뉘며, 연구 방법도 각기 분야에 따라서 달라집니다.


본문 바로가기

정부지원금 47가지
지금 바로 신청해야만 받을 수 있는 정부지원금.